[ 환경생각 ]
폐건전지
분리배출의 필요성
전세계적으로 1년에 사용되는 건전지는 약 30만 톤으로 전지 1개 무게를 40그램으로 가정하면 1년에 약 75억 개의 전지가 쓰이고 있는 셈이다. 이 중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1만 5,000톤, 약 10억 개의 전지가 판매되거나 사용되고 있습니다
건전지는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1차 건전지와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건전지로 나뉘는데, 1차 전지에는 전체 전지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망간 건전지와 알카라인 건전지, 2차 건전지에는 니켈카드뮴 전지‧니켈수소 전지‧리튬 전지‧산화은 전지‧수은 전지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1차 건전지의 경우 납과 수은 등의 유해물질은 거의 없지만 망간·아연·철·니켈 등을 포함하고 있어 그대로 매립하게 되면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소각 시 망간과 아연 등을 함유한 배기가스로 인하여 대기가 심각하게 오염되기도 하는데, 이보다 더 큰 문제는 1차 건전지와 2차 건전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수은과 카드뮴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2차 건전지까지 생활쓰레기로 버리고 있다는 점입니다. 토양과 지하수, 공기 등이 오염될 경우 오염된 환경은 인간에게도 고스란히 영향을 미쳐 망간폐렴, 카드뮴 중독, 수은중독 등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시킬 수도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수은 전지의 경우 생산과 수입이 금지돼 있으나 중국과 동남아산 건전지가 아이들 장난감 등에 내장되어 들어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전지의 분리배출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입니다.1년에 1만 5,000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라는 옛속담처럼 10~20년 사이 무분별하게 폐기된 폐건전지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는 일입니다
폐건전지
분리배출의 필요성
전세계적으로 1년에 사용되는 건전지는 약 30만 톤으로 전지 1개 무게를 40그램으로 가정하면 1년에 약 75억 개의 전지가 쓰이고 있는 셈이다. 이 중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1만 5,000톤, 약 10억 개의 전지가 판매되거나 사용되고 있습니다
건전지는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1차 건전지와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건전지로 나뉘는데, 1차 전지에는 전체 전지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망간 건전지와 알카라인 건전지, 2차 건전지에는 니켈카드뮴 전지‧니켈수소 전지‧리튬 전지‧산화은 전지‧수은 전지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1차 건전지의 경우 납과 수은 등의 유해물질은 거의 없지만 망간·아연·철·니켈 등을 포함하고 있어 그대로 매립하게 되면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소각 시 망간과 아연 등을 함유한 배기가스로 인하여 대기가 심각하게 오염되기도 하는데, 이보다 더 큰 문제는 1차 건전지와 2차 건전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수은과 카드뮴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2차 건전지까지 생활쓰레기로 버리고 있다는 점입니다. 토양과 지하수, 공기 등이 오염될 경우 오염된 환경은 인간에게도 고스란히 영향을 미쳐 망간폐렴, 카드뮴 중독, 수은중독 등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시킬 수도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수은 전지의 경우 생산과 수입이 금지돼 있으나 중국과 동남아산 건전지가 아이들 장난감 등에 내장되어 들어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전지의 분리배출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입니다.1년에 1만 5,000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라는 옛속담처럼 10~20년 사이 무분별하게 폐기된 폐건전지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는 일입니다
배터리에 함유된
희귀금속
산업계에서는 폐배터리 재활용시 코발트와 리튬, 니켈 등 희귀금속의 추출 후 재사용에 관심이 집중됐다.
배터리에 포함된 코발트와 리튬, 니켈 등은 방치될 경우 환경오염이 우려되지만 안전하게 분리될 경우 재활용이 가능하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배터리 업계에서는 주요 원료인 코발트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정체 코발트 화합물의 77%를 가져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알카라인 건전지만 해도 망간과 소량의 수은, 카드뮴, 납이 들어있어요.
그 외 카메라, 시계에는 수은전지가 있고요. 충전용 건전지로 많이 사용하는 니켈-카드뮴 전지에는 개당 평균 2~3g의 카드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배터리에 함유된
희귀금속
산업계에서는 폐배터리 재활용시 코발트와 리튬, 니켈 등 희귀금속의 추출 후 재사용에 관심이 집중됐다. 배터리에 포함된 코발트와 리튬, 니켈 등은 방치될 경우 환경오염이 우려되지만 안전하게 분리될 경우 재활용이 가능하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배터리 업계에서는 주요 원료인 코발트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정체 코발트 화합물의 77%를 가져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알카라인 건전지만 해도 망간과 소량의 수은, 카드뮴, 납이 들어있어요. 그 외 카메라, 시계에는 수은전지가 있고요. 충전용 건전지로 많이 사용하는 니켈-카드뮴 전지에는 개당 평균 2~3g의 카드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금속의
위험
그렇다면 중금속은 우리 몸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종류별로 다양하고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킨답니다.
수은
우리 몸에 수은이 들어오면 뇌와 신경계에 나쁜 영향을 미쳐, 많은 행동 장애를 불러일으키는데요. 1950년 중반 일본 미타마타 지방에서는 수은에 중독된 물고기를 먹은 사람 중 750명 이상 사람이 죽었고, 천 명 이상의 사람들이 아직도 고통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카드뮴
카드뮴에 오염된 음식물을 오랫동안 섭취하면 이타이이타이병이라고 불리는 무서운 병에 걸리는데요. 1946년 이후 일본 여성들에게 발병했던 이타이이타이병은 뼈를 약하게 만드는 무서운 병이랍니다. 이밖에도 카드뮴에 중독되면 복통이나 구토가 나거나 고혈압에 쉽게 걸리게 됩니다.
납이 체내에 축적되게 되면 뇌와 척수, 신경 기능을 파괴하게 됩니다.
납
리튬에 중독되면 입맛이 없어지고 구역질을 하거나 구토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리튬
중금속의
위험
그렇다면 중금속은 우리 몸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종류별로 다양하고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킨답니다.
수은
우리 몸에 수은이 들어오면 뇌와 신경계에 나쁜 영향을 미쳐, 많은 행동 장애를 불러일으키는데요. 1950년 중반 일본 미타마타 지방에서는 수은에 중독된 물고기를 먹은 사람 중 750명 이상 사람이 죽었고, 천 명 이상의 사람들이 아직도 고통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카드뮴
카드뮴에 오염된 음식물을 오랫동안 섭취하면 이타이이타이병이라고 불리는 무서운 병에 걸리는데요. 1946년 이후 일본 여성들에게 발병했던 이타이이타이병은 뼈를 약하게 만드는 무서운 병이랍니다. 이밖에도 카드뮴에 중독되면 복통이나 구토가 나거나 고혈압에 쉽게 걸리게 됩니다.
납
납이 체내에 축적되게 되면 뇌와 척수, 신경 기능을 파괴하게 됩니다.
리튬
리튬에 중독되면 입맛이 없어지고 구역질을 하거나 구토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