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은실천 ]
알고 나면 이득이 되는
분리배출
환경부에서는 2018년 건전지 분리배출 강화를 위해 구청이나 주민센터 등에서
폐건전지와 새건전지를 교환해 준다고 공시했는데요,
지역 여건에 따라 10:1 또는 20:1의 비율로 교환해 준답니다.
'주민센터에서 직접 교환한 건전지'
그래서 저도 자택 근처에 있는 주민센터에서 교환이 되는지 전화로 확인한 후 방문했는데요,
100여 개의 사용한 건전지와 10개의 새건전지를 교환하고 돌아왔답니다.
직접 가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모아둔 건전지를 버릴 마땅한 방법이 없던 차에
괜찮은 방법이라 생각이 되더라고요.
이밖에 우유팩, 주스팩 등 종이팩과 폐건전지를 모아 근처 동주민센터에 가져다주면
친환경화장지와 새건전지로 교환해준다니, 알아두면 좋은 정보죠?
다 쓴 건전지는 ‘폐건전지 수거함’으로 지정된 장소에 분리배출 하면 되는데요
보통 아파트, 학교 등의 분리수거를 하는 곳이나 눈에 띄는 곳에 비치되어 있답니다.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 거주한다면 주민센터나 지하철역에 비치된 폐건전지 수거함을 이용하면 되죠.
[출처] 세계 환경의 날 : 건전지 수거로 시작하는 작은 환경 운동 | 작성자 한국교직원공제회
알고 나면 이득이 되는
분리배출
환경부에서는 2018년 건전지 분리배출 강화를 위해 구청이나 주민센터 등에서 폐건전지와 새건전지를 교환해 준다고 공시했는데요, 지역 여건에 따라 10:1 또는 20:1의 비율로 교환해 준답니다.
'주민센터에서 직접 교환한 건전지'
그래서 저도 자택 근처에 있는 주민센터에서 교환이 되는지 전화로 확인한 후 방문했는데요. 100여 개의 사용한 건전지와 10개의 새건전지를 교환하고 돌아왔답니다. 직접 가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모아둔 건전지를 버릴 마땅한 방법이 없던 차에 괜찮은 방법이라 생각이 되더라고요.
이밖에 우유팩, 주스팩 등 종이팩과 폐건전지를 모아 근처 동주민센터에 가져다주면 친환경화장지와 새건전지로 교환해준다니, 알아두면 좋은 정보죠?
다 쓴 건전지는 ‘폐건전지 수거함’으로 지정된 장소에 분리배출 하면 되는데요. 보통 아파트, 학교 등의 분리수거를 하는 곳이나 눈에 띄는 곳에 비치되어 있답니다.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 거주한다면 주민센터나 지하철역에 비치된 폐건전지 수거함을 이용하면 되죠.
[출처] 세계 환경의 날 : 건전지 수거로 시작하는 작은 환경 운동 | 작성자 한국교직원공제회
올바른
건전지 사용방법
Tip 1 | 전지 종류별 용도
* 장시간 사용, 파워/ 큰 전력이 필요한 기기에는 알카라인 전지
- 장시간 사용하는 휴대 라디오나 헤드폰 스테레오, 파워가 필요한 강력 라이트나 액정 표시가 있는 전자 게임기, 모터를 사용하는 카세트 라디오나 전동 장난감, 카메라의 플레쉬 등에 망간 건전지에 비해 약 3~5배 오래 쓸 수 있습니다.
* 단시간 가끔 사용하거나 작은 전력만을 사용하는 기기에는 망간전지
- 사용하지 않는 동안 회복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가스, 석유기기의 자동 점화 등 단 시간 가끔 사용하는 물건, 또는 작은 전력으로 움직이는 벽시계나 탁상시계에 적당. 가격이 싸기 때문에 한 번 쓰고 말 경우에는 폭넓은 용도로 쓰이며, 경제적입니다.
* 큰 전력이 필요하거나 기기나 매일 사용하는 기기에는 충전식 전지
- 디지털 카메라, 전동 장난감, 전동공구, 전동청소기, 전동칫솔, 강력 서치 라이트(비상용 제외), 무정전 전원장치등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나, 헤드폰 스테레오, 전자 게임기, 면도기와 같이 자주 사용하는 기기에는 파워가 있으면서 반복하여 충전해서 약 500회 정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입니다.
Tip 2 | 사용 및 취급시 주의사항
1. 건전지는 충전하지 마세요
- 건전지를 충전하는 것은 사고로 이어진다. 또한, 충전식 전지는 충전기가 달라지면 전지가 발열하거나 액이 새거나 하며, 파열의 원인이 된다.
2. (+), (-)는 바르게
- 전지를 3개 이상 사용하는 기기는 그 중 1개가 (+), (-)극이 거꾸로 세팅되어도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발열하거나 액이 새거나, 파열의 원인이 되기에 반드시 (+), (-)는 바르게 세팅해야 하다.
3. 상표나 종류가 다른 전지를 섞지 말 것
- 상표나 종류가 다른 전지를 섞으면 발열하거나 액이 새거나, 파열의 원인이 되므로 오히려 비경제적이다.
4. 전지를 불 속에 던져 넣지 말 것
- 무리한 취급을 하면 전지 내부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사고로 이어진다.
5. 전지액이 눈에 들어가면
- 곧바로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의사의 치료를 받는다.
6. 피부나 옷에 묻으면
- 피부 이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곧바로 깨끗한 물로 씻어낸다.
7. 금속물체에 닿지 말 것
- 가방 안에서 (+)와 (-)에 목걸이 등 금속이 닿으면 쇼트/발열한다. 같이 휴대하거나 보관하면 안 된다.
8. 다 쓴 건전지는 빨리 빼낼 것
- 전지에서 액이 새거나 해서 기기를 망가뜨린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반드시 전지를 기기에서 빼놓아야 한다.
••출처....인사이드
올바른
건전지 사용방법
Tip 1 | 전지 종류별 용도
* 장시간 사용, 파워/ 큰 전력이 필요한 기기에는 알카라인 전지
- 장시간 사용하는 휴대 라디오나 헤드폰 스테레오, 파워가 필요한 강력 라이트나 액정 표시가 있는 전자 게임기, 모터를 사용하는 카세트 라디오나 전동 장난감, 카메라의 플레쉬 등에 망간 건전지에 비해 약 3~5배 오래 쓸 수 있습니다.
* 단시간 가끔 사용하거나 작은 전력만을 사용하는 기기에는 망간전지
- 사용하지 않는 동안 회복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가스, 석유기기의 자동 점화 등 단 시간 가끔 사용하는 물건, 또는 작은 전력으로 움직이는 벽시계나 탁상시계에 적당. 가격이 싸기 때문에 한 번 쓰고 말 경우에는 폭넓은 용도로 쓰이며, 경제적입니다.
* 큰 전력이 필요하거나 기기나 매일 사용하는 기기에는 충전식 전지
- 디지털 카메라, 전동 장난감, 전동공구, 전동청소기, 전동칫솔, 강력 서치 라이트(비상용 제외), 무정전 전원장치등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나, 헤드폰 스테레오, 전자 게임기, 면도기와 같이 자주 사용하는 기기에는 파워가 있으면서 반복하여 충전해서 약 500회 정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입니다.
Tip 2 | 사용 및 취급시 주의사항
1. 건전지는 충전하지 마세요
- 건전지를 충전하는 것은 사고로 이어진다. 또한, 충전식 전지는 충전기가 달라지면 전지가 발열하거나 액이 새거나 하며, 파열의 원인이 된다.
2. (+), (-)는 바르게
- 전지를 3개 이상 사용하는 기기는 그 중 1개가 (+), (-)극이 거꾸로 세팅되어도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발열하거나 액이 새거나, 파열의 원인이 되기에 반드시 (+), (-)는 바르게 세팅해야 하다.
3. 상표나 종류가 다른 전지를 섞지 말 것
- 상표나 종류가 다른 전지를 섞으면 발열하거나 액이 새거나, 파열의 원인이 되므로 오히려 비경제적이다.
4. 전지를 불 속에 던져 넣지 말 것
- 무리한 취급을 하면 전지 내부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사고로 이어진다.
5. 전지액이 눈에 들어가면
- 곧바로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의사의 치료를 받는다.
6. 피부나 옷에 묻으면
- 피부 이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곧바로 깨끗한 물로 씻어낸다.
7. 금속물체에 닿지 말 것
- 가방 안에서 (+)와 (-)에 목걸이 등 금속이 닿으면 쇼트/발열한다. 같이 휴대하거나 보관하면 안 된다.
8. 다 쓴 건전지는 빨리 빼낼 것
- 전지에서 액이 새거나 해서 기기를 망가뜨린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반드시 전지를 기기에서 빼놓아야 한다.••출처....인사이드